본 규정은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이하 '본 연구소'라 한다)에서 간행하는 학술지인 『어문논총』의 발간과 투고에 관한 제반 사항을 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어문논총』에 투고하는 논문은 한국문학(현대문학, 고전문학), 한국어학, 한국어교육학, 한국문화(이하, 한국어문화학)와 관련된 내용으로 기존에 출판되지 않은 새로운 연구이어야 한다.
1) 논문 투고는 한국어문화학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석사학위 이상의 연구자, 또는 그와 동등한 자격의 소지자에 한한다.
2) 동일인이 『어문논총』에 2회 연속으로 투고하여 게재할 수 없다. 단, 기획 및 특집 논문은 예외로 한다.
논문 접수는 연중 수시로 하나, 원칙적으로 각 호의 간행일로부터 120일 이전까지 투고된 논문을 심사 대상으로 한다.
『어문논총』은 매년 12월 말, 6월 말로 논문 모집을 마감하고, 연 2회(2월 28일, 8월 31일) 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분량 : 논문 분량은 200자 원고지 150쪽(A4 20쪽) 내외로 한다. 20쪽 초과시 초과한 분량에 해당하는 조판료(쪽당 10,000원)를 부담한다.
2) 편집 형식
① 논문의 편집은 게재 여부 결정 후 편집위원회에서 『어문논총』 체제에 맞게 편집하므로 다음의 사항을 준수하여 투고한다.
편집 체제 | |
---|---|
용지 | 신국판(폭 152, 길이 224) |
공통 | 신명조, 자간 12, 장평 97, 줄간격 165%(각주만 제외) |
여백 | 위쪽 10, 머리말 10, 아래쪽 15, 꼬리말 13, 좌우 21, 제본 4 |
글자크기 | - 논문 제목: 14(진한 신명조, 가운데 정렬) - 장 제목: 12(진한 신명조) - 필자명: 12(진한 중고딕, 오른쪽 정렬) - 절 제목: 11(진한 신명조) - 본문: 신명조 10.5, 들여쓰기 12.8 -주제어: 중고딕 10 - 인용: 신명조 9.5, 들여쓰기 10, 좌우 18 - 각주: 신명조 7.6, 내어쓰기, 줄간격 140% |
참고문헌 | 글자 크기 10, 내어쓰기 참고 문헌 제목: 12(진한 신명조) |
② 논문 본문에서 인용 문헌을 표기할 경우 저자가 2명 이하인 경우는 모두 밝히고, 3인 이상인 경우는 ‘○○○ 외’로 표기한다.
③ 주석은 각주를 원칙으로 하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구분 | 각주 표기 방법 | |
---|---|---|
국내 논저 | 단독 저서 | 임화,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132쪽. |
편서, 학회지 | - 하상일, 「김현의 비평과 『문학과지성』의 형성과정」,『비평문학』27, 한국비평문학회, 2007, 246쪽. - 편서, 학회지의 권호 표기를 ‘『어문논총』 제5권 2호’가 아닌 ‘『어문논총』 5(2)’ 형식으로 통일 | |
기타 | - 상게서→ 위의 책 - 전게서→ 앞의 책 - 면, 페이지, p, pp.→ 쪽 - 인용 쪽수 표기 : ‘1-2쪽’, ‘(홍길동, 1995: 1-4)’ 형식으로 통일 - 웹 검색 사항을 인용하는 경우 검색일 표기 규정 명시, 예) (최종 검색일: 2024. 9. 13.) | |
국어학 및 관련 분야 | - 홍길동(1997),「국어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국어사 연구』, 태학사, 27쪽. - 내각주 사용시: 본문 속에 (홍길동, 1997 : 27) 로 표시 | |
외국 논저 | 단독 저서 | Hans Meyerhoff, Time in Litera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5, p.123. |
- Ibid., pp.7-8. - Hans Meyerhoff, op. cit., p.37. | ||
편서, 학회지 | Cleanth Brooks, “Literature Criticism”, English Institute Essays, New York, 1947, pp.127-158. | |
번역서 | Hans Meyerhoff, 김준오 옮김,『문학과 시간현상학』, 삼영사, 1987, 2쪽. | |
집필자의 논문과 저서는 본인의 이름을 표기한다. |
3) 논문 체계
① 투고 논문은 ‘국문 제목(부제 포함) - 저자명 – 목차 - 국문 초록 - 국문 주제어 - 본문 - 참고문헌 - 영문 제목 - 영문 필자명 - 영문 초록 – 영문 주제어’ 순서로작성한다. 다만, 논문 투고 시에는 저자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논문 게재 시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필자 정보 가운데 소속기관 및 전자우편만 명시한다.
② 논문 본문의 체계는 ‘Ⅰ. - 1) - (1) - 가 …’ 형식을 따른다.
③ 영문초록 및 투고 논문에서 외국어 표기는 한글맞춤법 통일안 외국어 표기법에 따른다.
4) 저자 표시
① 논문 투고자는 투고자 이름의 오른쪽 위에 별표 첨자를 붙이고, 각주에서 소속기관, 직위를 밝힌다.
예)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수료)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박사
②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에는 논문 저술의 기여도에 따라 제1저자, 제2저자 등으로 각주에서 밝히고 그 뒤에 소속기관, 직위를 명시한다.
예) 제1저자,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제2저자,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5) 초록 및 주제어
① 투고 시 국문 및 영문 초록과 국문 및 영문 주제어를 첨부하여야 한다.
② 국문 초록은 논문의 주제를 정확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명료하게 작성하되, 분량은 500자 내외(학술지 편집 용지 기준 12행 내외)로 한다.
주제어는 논문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10개 이내의 단어로 선정한다.
③ 영문 초록과 주제어도 이에 준한다.
④ 외국어로 된 논문은 국문 초록과 주제어를 반드시 첨부하여야 한다.
6) 참고문헌
①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언급된 자료에 한한다.
② 참고문헌의 성격에 따라 기본 자료와 참고 논저(논문 및 단행본)로 나누고, 한국어 문헌, 동양어 문헌, 서양어 문헌 순으로 배열하며, 그 순서는 동양 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서양 문헌은 저자명의 알파벳순으로 한다.(학술논문의 경우 반드시 발표지의 전체 수록 페이지를 명시해야 한다.)
③ 단행본의 경우는 저자명, 서명, 출판사, 출판 연도 순으로 명시한다.
④ 논문의 경우는 필자명, 논문명, 게재지명, 권호수, 발행기관, 발행년도, 쪽 순으로 명시한다.
예) 하상일, 「김현의 비평과 『문학과지성의』 형성과정」, 『비평문학』 27(2), 한국비평문학회, 2007, 245-269쪽.
⑤ 동양 문헌의 경우 논문명은 「 」, 단행본이나 게재지명은 『 』를 사용하고, 각 내용은 반점( , )으로 구별한다.
⑥ 서양 문헌의 경우 논문명은 “ ”, 단행본이나 게재지명은 이텔릭체로 표기하고, 각 내용은 반점(,)으로 구별한다.
예) James Low, “History of Tennasserim”, Th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Vol. 5, No.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 1839, pp. 141-164.
⑦ 인터넷 자료의 경우 다음 사례를 참고해서 작성한다.
예) 허갑녀, <개로 둔갑한 여우>, 한국구비문학대계, https://gubi.aks.ac. kr/web/VolView1_html5.asp?ur10no=tsu_2359&ur20no=Q_2359_2_05A&dbkind=1&hilight=%EC%97%AC%EC%9A%B0&navi=%EA%B2%80%EC%83%89;%EC%97%AC%EC%9A%B0(%EC%A0%9C%EB%AA%A9), 접속: 2023. 12. 26.
일연, 『삼국유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y, 접속: 2024. 1. 2.
⑧ 논문 작성상의 기호는 다음의 원칙에 따라 표기한다.
구분 | 표기 방법 | |
---|---|---|
인용, 강조, 특수용어, 영화·드라마 제목 | - 직접 인용·대화: “ ” - 강조 사항·특수용어: ‘ ’ - 영화·드라마 제목: < > | |
출판물, 논저 | 국내 자료 | 논문, 학위 논문, 시, 단·중편소설, 단막극:「」 |
단행본, 학술지, 신문, 잡지명, 장편소설, 장막극:『』 | ||
외국 자료 | 논문, 학위 논문, 시, 단·중편소설, 단막극: “ ” | |
단행본, 학술지, 신문, 잡지명, 장편소설, 장막극: 이탤릭체 |
1) 논문 투고는 연구소 논문투고시스템을 통해 진행한다. 논문 파일은 ‘ᄒᆞᆫ글 2002’ 이상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본 연구소가 요구하는 논문 작성 형식에 맞추어서 제출하여야 한다.
2) 본 연구소가 요구하는 논문 작성 형식에 맞지 않는 논문을 제출하였을 경우 받게 되는 불이익은 전적으로 논문 투고자의 책임임을 밝혀둔다.
3) 투고자는 투고 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제공하는 ‘논문유사도검사’서비스를 이용해 논문 유사도를 검사해야 한다. 논문 유사도가 15%이상일 경우 투고하거나 논문을 게재할 수 없다.
1) 접수된 원고는 본 연구소의 심사를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탈락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
2) 접수된 원고는 본 연구소의 심사를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중복투고나 표절로 판명될 경우에는 반려한다. 중복투고나 표절의 경우 제재는 <연구윤리위원회>의 규정을 따른다.
1) 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가 소유한다. 저작권에는 디지털 저작물의 복제 및 전송권을 포함한다. 투고자는 『어문논총』에 게재한 논문 원본을 일반인 및 연구자들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소 홈페이지(http://eomun.jnuac.kr, jnu와 ac사이에 구분점 없음)를 통하여 공개 서비스하는 것에 동의하며 게재한 논문에 대해 디지털 콘텐츠 식별자(DOI:Digital Object Identifier)를 부여하여 타 연구자들이 접근 및 이용하는 것에 동의한다. 단, 게재된 논문을 저자가 본인의 출판물이나 다른 논문 등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본 연구소는 이를 승인한다.
2) 이를 위해 저자는 '저작권 양도 동의서'에 서명하여 한국어문학연구소에 제출해야 한다.
1) 다양하고 균등한 논문 발표를 위해 이전 발간호의 심사에서 탈락한 논문의 재투고는 1회로 제한한다.
2) 모든 게재 논문의 영문초록은 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에 의뢰하여 최종 감수한다.
3) 논문 투고자는 투고 시에 심사료 6만 원을 입금하여야 하며, 게재가 확정된 경우에는 일반논문의 경우 10만 원, 연구비 지원 및 사사표기가 필요한 논문일 경우는 20만원을 연구소 계좌로 입금해야 한다.